재정, 금융, 실물 경제

20세기 자유주의 대경제 학자, 사회 철학자 하이에크 (1899-1992 )- 케인즈 경제 정책 약점 지적

신풍 2020. 8. 25. 11:48

20세기 자유주의 대경제 학자, 사회 철학자 하이에크 (1899-1992 )

- 케인즈의 경제 정책 약점 지적

 ]

1. 프로필

 1899       오스트리아 빈 출생 
1918-1926 빈대학 입학 
1927-1931 오스트리아 경기연구소 소장 
1931-1950 런던정경대학 교수 
1950-1962 미국 시카고대학 경제학, 사회철학 교수 
1962-1968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 교수 
1974 노벨경제학상 수상 
1992 사망

 


2. 업적

 

하이에크는 1899년 5월 8일 오스트리아 수도 빈의 학구적인 집안에서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하이에크의 조상들은 거의 대부분 관리로 일했으나 자연과학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어린 시절 하이에크는 의학박사이자 빈 대학의 식물학 명예교수였던 아버지를 따라 

채집여행을 다니면서, 식물학과 고 생물학, 진화론에 관심을 가지게 됐는데, 생물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가 문화적 진화론을 펼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17년 3월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군에 입대, 포병장교로 복무했다. 그는 전쟁 중

 군인이 실제 전투보다는 허기와 질병으로 인해 더 고통 받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제1차 세계대전은 

독일, 오스트리아 등 동맥국의 패배로 끝났다. 전후 하이에크는 온건한 사회주의에 매료되어 

사회주의 경제학을 공부하였다.

1918년 군에서 제대한 하이에크는 당시 자유주의의 거두들이 교수와 강사로 활약하고 있었던 

빈 대학에 들어갔다. 특히, 오스트리아의 공무원이자 열정적인 자유주의자였던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하이에크가 사회주의(공산주의)를 버리고 자유주의자로 전향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1927년 하이에크는 미제스와 함께 빈에서 ‘오스트리아 경기순환 연구소’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이 되었다. 그는 1925~1928년 동안 쓴 경기변동에 관한 수편의 논문을 통해서 

미국에 불황이 임박했다고 예견했다. 그러나 당시 세계경제학계의 대가들, 예를 들어 미국의 

피셔나 영국의 힉스, 케인스 등은 1920년대의 호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잘못 예언하고 있었다. 

하이에크의 저서 <화폐이론과 경기순환>은 이때 출판되었다. 책을 통해 그는 갑작스러운 신용증가가 

재화들 간의 상대가격을 어떻게 변화시키며 결국 지속될 수 없는 과잉 투자를 낳게 되는가를 

보여 주었다. 공교롭게도 이 책이 나온 직후 뉴욕 증권시장의 주가가 폭락하고 세계 대공황이 시작됐다.

같은 해, 하이에크는 빈 대학의 경제학 및 통계학 강사로 임명됐다. 1931년 런던경제대학 라이오넬 

로빈스의 초청을 계기로, 1950년 미국 시카고 대학으로 옮길 때까지 20년 가까이 런던경제대학의 

종신교수로 활동했다. 그는 코우즈(199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를 비롯한 유능한 제자들을 

시키고 대학에서 가르쳤고, 미제스가 했던 것처럼 경제세미나를 매주 개최하여 

수많은 경제학자들과 진지한 토론을 벌였다. 그리고 그 유명한 ‘하이에크-케인스 논쟁’이 벌어졌다.

대공황의 원인을 분석한 것이 주요 내용인데, 케인스는 침체의 원인이 ‘과소투자, 과소소비’라고 했고, 

하이에크는 ‘과잉투자, 과잉소비’라고 했다. 진단이 정반대였기 때문에, 처방 역시 정반대가 되었다.

 케인스는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했고, 하이에크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조정능력을 신뢰해야 한다고 했다.

케인스가 당면한 문제를 조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단기적 처방을 찾는데 노력하였다면 하이에크는 

현실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논리를 가지고 장기적으로 옳은 것을 추구했다. 이 논쟁은 

1936년 케인스가 발표한 <고용, 이자 및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을 통해, 케인스가 승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책은 1960년대까지 주요국가에서 채택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투자와 소비를 늘리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경기활성화 대신 인플레이션과 

실업으로 나타남에 따라 하이에크의 이론이 증명되었다. “장기적으로 우리 모두는 죽는다.”고 했던 

케인스가 1946년 65세의 나이로 비교적 단명한데 반하여 하이에크는 1992년 93세까지 장기적으로 

살았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로 런던경제대학이 케임브리지 대학으로 피란을 갔을 때, 하이에크는

 <노예의 길>(1944)을 저술했다. 하이에크는 이 책에서 서구문명의 융성을  가능케 한 토대로 ‘

개인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인주의는 개개인의 타고난 재능과 소질을 개발하는 것이 사회발전에 가장 이상적이라고 보는 신념이다. 

자유주의는 이러한 개인주의에 바탕을 두고 일상생활에서 사회의 ‘자연발생적’인 힘을 많이 사용하고, 

가능한 한 강제력에 의존하지 않으려는 사상이다. 자유주의는 개인을 과거의 모든 속박과 명령으로부터 

해방시킴으로서 개인의 자유롭고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복잡한 경제활동을 하나의 질서로 

구축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자유시장경제이다.

 

하이에크는 <노예의 길> 저술을 통해, 사회철학자로서 사회주의(공산주의)의 오류를 증명하고 자유사회의 

철학적 기초를 탐구하는데 헌신하게 됐다. 하이에크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자유로운 사회의 존속을 

보장할 수 있는 원칙들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그의 주도로 1947년 스위스 제네바 호 부근에 있는 

몽페를랭에서 10개국 39명의 자유주의자들이 모여 몽페를랭협회(Mont Pelerine Society)의 활동을 시작했다. 

이 모임에는 하이에크를 포함하여 미제스, 로빈스, 디렉터, 오이켄, 프리드먼, 나이트, 포퍼, 뢰프케, 

스티글러 등 당대의 자유주의자들이 모였다.

1950년 하이에크는 미국으로 건너가 시카고 대학에서 사회 및 도덕과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경제학 강의 뿐 아니라 사회철학의 다양한 주제에 관해 연구했으며, <자유헌정론>을 비롯한 다수의 

저서를 발표했다. 그는 케인스가 ‘경제학자들과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옳든 그르든 간에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것이다. 선악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득권이 

아니라 사상이다.’ 라고 말한 것에 동의하며 사상의 힘에 동의했다. 1962년 하이에크는 청력에 

문제가 생겨 우울증으로 발전했으며, 1968년 프라이크부르크대학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1974년 스웨덴 왕립학술원은 ‘경기순환론과 화폐정책 및 신용정책의 효과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하이에크에게 노벨경제학상을 수여했다. 케인스 이론이 한계에 봉착할 무렵으로, 이후 몽페를랭 협회 

회원 중에서 일곱 명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이들의 영향력은 상당한 것이어서, 

현실정치에 있어서도 하이에크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정치인들이 성공을 거두기 시작하였다.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하이에크의 <자유헌정론>을 읽고 감명을 받았고, 조지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1991년 하이에크에게 ‘대통령 자유메달’을 수여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여왕은

 ‘대영제국 명예 훈위’를, 독일은 ‘과학예술훈장’을 수여했다. 그는 사회주의(공산주의)의 근본적 문제점을 

철저히 분석한 <치명적 자만>(1988)이 발간된 지 1년 만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는 것을 지켜보았다.

1992년 통일된 독일의 프라이부르크에서 93세를 일기로 조용히 눈을 감았다.

 

그는 평소에 입버릇 처럼 "공산주의를 추종한 것은 인류 전체가 노예의 길로 전락한다고 

강조했고  따라서 공산주의는 언젠가 망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을 지니고 있다고 역설했다.

.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것을 보고 하이에크는 거 봐, 내가 공산주의에 대해 뭐랬어 하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3. 관련웹사이트

 

1) 미국 미제스 연구소의 하이에크 전기
http://www.mises.org/hayekbio.asp

2) 하이에크 사상 연구소
http://www.hayekcenter.org

3) 프리시안 철학에 미친 하이에크의 영향
http://www.friesian.com/hayek.htm

4)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소개, 하이에크 편
http://www.nobel-winners.com/Economics/friedrich_von_hayek.html

5) 아담스미스 연구소에 소개된 하이에크
http://www.adamsmith.org/hayek/

 

 

4. 관련서적

 

1) 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Hayek, Friedrich A. Von 한국학술정보/2002
2) 감각적 질서 : 이론심리학의 기초/Hayek, F. A 자유기업센터/2000 
3) 노예의 길/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9 
4) 하이에크 : 100주년 기념앨범/Rabould, John 자유기업센터/1999 
5) 개인주의와 경제질서/하이에크, F. A 자유기업센터/1998 
6) 자유헌정론. Ⅰ/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 
7) 자유헌정론. Ⅱ/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 
8)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와의 인터뷰. v.3/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 
9) 법ㆍ입법 그리고 자유. 2, 사회적 정의의 환상/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 
10) 법.입법 그리고 자유. Ⅲ, 자유사회의 정치질서/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 
11) 상업이라는 신비로운 세계/하이에크, 프리드리히 A 자유기업센터/1997
12) (197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와 인터뷰 

/Hayek, Friedrich A 자유기업센터/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