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브레튼 우즈 환율 체제 - 금과 달러의 태환 유지한 금본위 제도 실시. . 달러를 세계 기축통화로 고정환율제 채택
브레튼 우즈 체제( - 體制, 영어: Bretton Woods system, BWS)는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에 따라 구축된 국제 통화 체제로 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인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튼 우즈에서 열린 44개국이 참가한 연합국 통화 금융 회의에서 탄생되었다. 이 협정을 브레튼 우즈 협정이라 부른다.
협정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이 설립되었다. 통화 가치 안정, 무역 진흥, 개발 도상국 지원을 목적으로 하며 환율을 안정시키는 것이 주요한 목표였다.
- 미국 달러화를 기축 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의 실시 : 금 1온스를 35달러로 고정시키고, 그 외에 다른 나라의 통화는 달러에 고정.
- 조정가능한 고정환율 제도의 실시 : 원칙적으로는 상하 1%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하며, 국제수지의 근본적인 불균형(fundamental disequilibrium)이 있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그 이상의 변동을 허용.
- 특별인출권의 창출
- 1930년대 이래의 각국통화가치 불안정, 외환관리, 평가절하경쟁, 무역거래제한 등을 시정하여 국제무역의 확대, 고용 및 실질소득증대, 외환의 안정과 자유화, 국제수지 균형등을 달성할 것을 목적으로 체결.
- 각국에 필요한 외화를 공급하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전후부흥과 후진국개발을 위한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을 창설.
- 1971년 12월 스미소니협정으로 이행하여 변질된 형태로나마 이어지던 브레튼 우즈 체제는 1973년 초 주요국이 환율을 유동화시킴으로써 IMF 체제는 브레튼 우즈 체제가 갖추었던 금환본위제라는 양대기본개념이 크게 변질된 새로운 국제통화제도로 모습을 바꾸었다.
이 체제가 지속되는 동안 제1세계 국가들은 자유무역을 기반으로 기록적인 고도성장을 이루었다.
2. 스미소니언 환율 체제.- 조정가능한 고정환율제도 체택
1971년 금과 달러의 태환을 적용하던 브레튼우즈 환율체제의 붕괴 이후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등 선진 10개국 재무장관들이 워싱턴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모여 체결한 환율 체제.
1971년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이후 환율 제도의 안정을 꾀하기 위해 선진 10개국(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재무장관들이 워싱턴 스미소니언 박물관에 모여 체결한 환율 체제이다. 이 체제는 브레턴우즈 체제를 이어나가기 위한 조치였으며 브레턴우즈가 고정환율제도 였다면, 이 체제는 일정 수준 하에서 조정 가능한 고정환율제도라고 볼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1) 금 1온스에 대한 미국달러의 가치를 35달러에서 38달러로 평가절하하고, 2) 환율체제는 고정환율제를 유지하되, 미국 달러화를 기준으로 기준환율 제도를 도입하며, 3) 각국 통화의 변동환율폭을 기준율의 상하 2.25%(브레턴우즈 체제 하에서는 1%)로 설정한다는 것이다.
사실상 스미소니언 체제는 브레턴우즈 체제의 고정환율제도가 완전히 붕괴되기까지의 과도기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 체제가 출범한지 6개월만인 1972년 6월, 영국은 투기세력에 의한 파운드화 파동 때문에 변동환율제도를 택하였다.
3. 킹스턴 환율체제 - 변동환율 제도로 전환
이후 1973년까지 거의 모든 국가들이 변동환율제도를 선택하였으며, 1976년 1월 자메이카 수도 킹스턴에서 개최된 IMF 잠정 위원회가 각국에게 환율제도의 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스미소니언 체제는 완전히 무너졌다. IMF가 회원국들에게 환율제도 재량권을 부여한 후의 변동환율 체제를 킹스턴 체제라고 부른다.
4. 프라자협정과 플라자합의는 같은말입니다.
플라자 합의 - 엔화에 대한 달러화 평가 절하, 달러화에 대한 엔화 절상
플라자 합의(Plaza Agreement 또는 Plaza Accord)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에 있는 플라자 호텔에서 G5 경제선진국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들의 모임에서 발표된 환율에 관한 합의를 가리킨다.
영향
0. 당시 미국은 대외 무역수지 불균형과 안으로는 재정적자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것이 레이건 정부의 유명한 쌍둥이적자이다. 그리하여 경제선진국들에 도움을 요청하여 성립한 합의가 플라자 합의이다. 합의에서는 달러화의 가치를 내리고 엔화의 가치를 높이는 정책이 채택되었다. 발표일 다음날에 달러화 환율은 1달러에 235엔에서 약 20엔이 하락하였다.
0. 이 합의로써 일본에서는 급속한 엔고 현상이 진행되어 엔고에 의한 불황의 발생이 우려되어 저금리 정책의 시행이 계속되었다. 이 저금리 정책이 부동산이나 주식에로의 투기를 가속화하여 거품 경제 가열을 초래하였다. 또 엔고에 의하여 일본 경제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급속히 확대되었다. “반액 세일”이라고 까지 일컬어지는 미국자산 사들이기, 해외여행의 붐, 자금이 싼 나라로의 공장 이전 등이 계속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일본인들은 일억총중류라는 개념으로 파악하기도 하였다. 그 후에 지나쳤던 달러화 하락 현상에 브레이크를 걸기 위하여 환율의 안정화를 꾀하기 위하여 1987년 다시금 각국이 협조하기로 하는 루브르 합의가 이루어졌다.
'재정, 금융, 실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 있는 금융지식 (0) | 2020.10.16 |
---|---|
기업에서 현금흐름표 간단 예시. (0) | 2020.10.16 |
20세기 자유주의 대경제 학자, 사회 철학자 하이에크 (1899-1992 )- 케인즈 경제 정책 약점 지적 (0) | 2020.08.25 |
한국의 주요 국제 금융기구 한국 지분률 (%) - 중요 (0) | 2020.08.24 |
외환 보유고를 무작정 늘릴 수 없는 이유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