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기압 - 공기가 수은 기둥을 76센치미터(760밀리미터) 밀어올리는 힘을 말한다.
2) 고기압 저기압 - 주변보다 기압이 높으면 고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낮으면
저기압이다. 즉 상대적 개념이다.
3) 헥토파스칼 이란 ? 밀리바와 1기압 환산 단위 크기는 같다.
기상학에서 사용하는 기압의 단위를 말하며 1hPa은 1㎡(평방미터)의 넓이에 1N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을 말하는 1Pa이라하고 1파스칼의 100배가 1 헥토파스칼이다.
hectopascal(헥토파스칼; hPa)은 그리스어 hecto와 프랑스어 pascal이 합쳐진 용어다.
1Pa은 1㎡의 넓이에 1N(뉴턴)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으로 크기가 너무 작아서 기상학에서는
그 100배인 hPa을 쓴다.
기압의 단위
수은주 760mm의 높이에 해당하는 기압을 표준기압으로 1기압(atm)이라고 하고,
큰 압력을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한다. 1㎠의 단위면적에 10 의 6승 dyne(다인)의 힘이
가해졌을 때의 압력을 1bar(바)라 하고 이것의 1/1000이 1mb(밀리바)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41년부터 기압의 단위로 mb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1983년 개최된 WMO(세계기상기구)
총회에서 mb 대신 국제단위계(SI)의 압력단위인 hPa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밀리바와 헥토파스칼 단위 환산 - 결국 그 1기압 환산 크기는 거의 같다.
단위
수은주 760mm의 높이에 해당하는 기압을 표준기압으로 1기압(atm)이라고 하고, 큰 압력을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한다. 1㎠의 단위면적에 10의 6승 dyne(다인)의 힘이 가해졌을 때의 압력을 1bar(바)라 하고 이것의 1/1000이 1mb(밀리바)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41년부터 기압의 단위로 mb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1983년 개최된 WMO(세계기상기구) 총회에서 mb 대신 국제단위계(SI)의 압력단위인 hPa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밀리바와 헥토파스칼은 그 단위 크기가 같다.
기압단위의 환산
1hPa = 1mb = 10-3bar = 10의 3 승 dyn/㎠ = 100N/㎡ = 0.750062mmHg= 0.76밀리밀리 수은기둥 높이
1기압(atm) = 1013.25hPa = 1013.25mb = 760mmHg (암기 요함)
세계기상기구
기상관측 또는 기타 지구물리학적 관측을 위한 범세계적인 협력관계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기구. UN(United Nations:국제연합)의 전문기구로, 1879년에 창립한 IMO(International Meteorological Organizatio
terms.naver.com
'양자 역학, 4차 산업혁명, 자연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축 파일 풀기 (0) | 2020.09.09 |
---|---|
핸드폰 오래 쓰는 법 (0) | 2020.09.09 |
영화 , 비디오 등 영상 편집 기술 - 가상 현실, 증강 현실,혼합 현실 (0) | 2020.08.26 |
반도체 산업을 추월 , 한국을 먹여살릴 전기차 뱃더리 (0) | 2020.08.25 |
박정웅, 양철수 팀 한국 최초로 인공지능 GPS 지적측량 연구 개발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