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금융, 실물 경제

공매도 투자기법이란?

신풍 2021. 4. 1. 07:25

0. 공매도 투자기법이란?

 

가)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계속 예상될 때 남의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팔 때보다 더 내려가면

빌린 주식을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갚아버리는 방식으로 큰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기법이다.

주식 시장 돌아가는 상황을 잘 아는 기관 투자가 즉 큰손들이 주로 이런 공매도를 한다 .작은

소액 투자들 일반 개미투자자들은 공매도를 잘못하면 큰 손해를 보니까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나)공매도 예시

1주당 10만원 하는 A 회사 주식에서 A 회사 영업 실적이 1년 이상 계속 나빠질 것이

예상되자 A회사 주식 1주당 주가가 9만원으로 하락했다. 그러나 A 회사 영업 실적은 앞으로 2년 이내에는

더 나빠질 것이라는 증권가 정보가 돌자

기관 투자가들인 B 증권사, C 은행들은 A회사 주식을 각각 10000주씩 A회사 주식을 위탁 매매해 주는

K증권에서 1주당 9만원 씩 보증금을 넣고 우선 빌려서, 빌린 다음 날 1주당 역시 9만원에 팔았다.

그 후 8개월 뒤 A 회사 주식은 1주당 5만원으로 더 떨어지자 위 B 증권사, C 은행은 빌린 A회사 주식

1,0000주씩을 모두 5만원씩에 사서 산 주식 10,000주를 빌린 K 증권에 갚아버려 거래를 완료했다.

따라서 위 공매도로 B증권사, C 은행은 1주당 공매도로 4만원 씩 모두 40억원 투자 이익을 보았다.

즉 빌린 주식을 빌린 가격에 팔고 그 주가가 더 내려 가자 싼 가격에 빌린 주식을 다시 사서

갚아 버린 거래가  공매도 투자 기법이다

 

다) 공매도 문제점, 해결책 

 

기관 투자자들이 수익을 노리고 공매도를 계속하면  공매도 분위기에  휩사여 

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많아진다

그러면 모처럼 주식 투자로 수익을 바라는 소액 투자자들이 불칙의 손해를 볼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당국은 일정 기간씩 공매도를 중지시켜주기도 한다.  

'재정, 금융, 실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진국 주가지수 2가지  (0) 2021.12.27
펀드 개념, 종류  (0) 2021.06.07
내 금융 계좌 전체 찾기  (0) 2021.03.31
부자만 아는 돈의 속성 5가지  (0) 2021.02.27
월가 ,투자 은행의 실태  (0)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