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금융, 실물 경제

펀드 개념, 종류

신풍 2021. 6. 7. 08:44

1. 펀드의 개념

여러 투자 방법 중에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주식 투자는 어느 곳에 얼만큼 투자할지 정하는 것이 쉽지 않고, 소중한 돈을 잃을 위험이 커요.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것이 펀드예요. 금융 기관에서 모집하는 펀드에 가입하면, 투자 전문가인 펀드 매니저들이 그 돈을 여러 곳에 투자하지요. 펀드 매니저는 돈을 어디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 연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내가 직접 주식 투자를 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게 돈을 관리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거예요. 펀드 매니저가 성공적으로 투자하여 이익이 생기면 투자했던 사람들은 그 이익을 나누어 가져요. 이것을 배당금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주식 투자와 마찬가지로, 펀드도 주의해야 할 점이 있어요.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율은 적더라도 내가 처음 맡긴 돈은 보호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펀드는 주가가 떨어질 경우에 생기는 손해를 펀드 매니저가 책임져 주지 않아요. 어떤 경우에는 내가 처음 맡긴 돈보다 더 적은 돈을 돌려받게 될 수도 있지요. 그래서 안전하고 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을 신중히 골라 펀드에 투자해야 해요.

[네이버 지식백과] 펀드가 뭐예요? 

 

2. 펀드의 종류 - 투자대상에 의한 분류

 

펀드는 모은 돈으로 주로 채권을 사느냐 주식을 사느냐에 따라서 채권형과 주식형으로 나뉘며, 주식형 펀드는

다시 주식 편입비율에 따라서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가)  채권형 펀드/ 주식형 펀드

펀드의 상품분류는 맡긴 돈을 주식에 얼마만큼 투자하느냐에 따라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으로 구분되는데,

주식과 채권에 각각 60% 이상 투자하면 주식형·채권형으로, 이도 저도 아니면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즉 '채권형 펀드'는 운용대상에 주식(주식관련 파생상품 포함)이 포함되지 아니하고 채권 및 채권관련

파생상품에 신탁재산의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이다.

'주식형 펀드'는 주식 및 주식관련 파생상품(주가지수 선물.옵션)에 신탁재산의 60%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인데, 주식형 펀드는 채권형과 달리 원금을 날릴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반대로 주식부문에서

수익률이 크게나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상품이다.

'혼합형 펀드'는 주식편입비율에 따라 주식혼합형(주식편입비율 최고 50%), 채권혼합형(50% 미만),

기타혼합형으로 세분화된다.


나) 주식형 펀드의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

주식형 펀드는 다시 주식 편입비율에 따라서 성장형, 안정성장형, 안정형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주식은 위험자산이므로 주식편입비가 낮은 상품일수록 안정성이 높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성장형 펀드'란 주식편입비율을 70%이상 유지하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를 말한다. 주가가

오르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주가가 떨어지면 원금의 상당액을 까먹을 수 있다.

'안정성장형'은 주식편입비율 50%내외인 상품으로 성장형에 비해 주가 상승시 수익률 상승폭은

작지만 주가하락시 급격한 수익률 하락은 방지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실세금리의 수익을 목표로 한다.

'안정형'은 주식편입비 30%이내의 저편입주식형이나 원금보존형 펀드 및 공사채형과 같이 원금손실

가능성이 거의 없거나 확정금리를 지급하는 상품을 말한다.

안정형은 주식으로 굴리는 액수가 그만큼 적고,나머지는 안전한 국·공채나 회사채에 투자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 가능성이 거의 없는 대신 주가상승기에는 안정성장형이나 성장형에 비해

수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다.

3. 펀드의 여러 개념 정리를 위한  분류

1) 헤지펀드 hedge fund

주식, 채권, 파생상품, 실물자산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해 목표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로
불특정 다수로부터 자금을 유치하는 공모펀드보다는 대규모 자금을 굴리는 100명 미만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파트너십을 결성한 뒤 "카리브해의 버뮤다 제도"같은 조세 회피 지역에 거점을 정하여 자금을 운영하는 투자신탁.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단기이익을 목적으로 국제시장에 투자하는 개인모집 투자신탁입니다.
각종 규제와 세금으로 부터의 회피를 위해 투자 자금을 모아 세금이 없는 나라에서 사무실을 운영하며 대형 헤지펀드 들은 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2)인덱스 펀드 index fund

증권시장의 장기적 성장 추세를 전제로 하여 주가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포트폴리오 운용기법.

 

인덱스펀드의 장점은 효율적인 분산화 실현, 증권매매에 따르는 비용 절감, 저렴한 운용비용, 투자자 스스로에 의한 운용 등을 들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목표 인덱스보다 낮은 투자성과, 구성종목 교체의 곤란성, 비편입종목에의 악영향, 증권업계의 침체 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관련된 펀드로 ETF가 있겠는데요. 특정 주가 지수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증권 시장에 상장한 펀드입니다.

인덱스 펀드는 장기적 추세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투자를 길게 할 수록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국부펀드(펜션펀드) sovereign wealth fund

외환 보유액 등 정부 자산을 기초로 한 국가의 정부기관이 운영하는 펀드로 국부펀드는 주식, 채권은 물론 파생상품이나 부동산 등 고위험·고수익을 포함한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투자합니다.

 

요약하면, 정부가 외화자산을 재원으로 조성하여 통화당국의 외환보유액과는 별도로 운용·관리하는 투자기구를 지칭합니다.

 

4) 역외펀드 off-shore fund

국내에서 자금이 조성되는 역내펀드와 비교되는 개념으로 주식투자 대상국이 아닌 제3국에서 조성되는 주식투자용 기금으로 다시 말해 한국증시에 투자하기 위해 일본이나 유럽, 미국 등지에서 조성된 모든 펀드가 역외펀드의 범주에 속합니다.

 

요약하면, 투자자가 속한 나라가 아닌 제 3국에 조성된 펀드입니다.

똑같이 해외에 투자하는 해외 펀드여도, 우리나라 안에서 설정된 펀드는 역내펀드, 미국이나 일본 등 해외에서 설정된 펀드는 역외 펀드라고 하는데요.

역외펀드는 투자가가 속한 특정 국가의 조세제도 등의 운용상의 제약을 피할 수 있습니다.

 

5)뮤추얼펀드 mutual fund

국제적으로 회사형 펀드 중에서 투자자들이 언제든지 가입할 수 있는 추가형 펀드입니다.

뮤추얼 펀드를 한국어로 하면 '회사형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6)사모펀드 Private Placement Fund

비공개적으로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돈을 모아 기업을 사고 파는 것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펀드로 고수익기업투자펀드라고도 하는데요.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으며, 공모펀드와는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는 만큼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