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敎의 基本敎理란 ?
1) 올바른 인식체계를 관리하고(5온,12처, 18계 수련을 해야 함) /
2) 생로병사 집착과 고통(12인연)을 해탈하기 위해서 /
3)고집을 멸하고 8정도를 행하여 /
4)성불(안심입명 경지)에 이른다.
먼저 올바른 인식체계를 마음속에 세우는 단계는
1.) 5蘊(온), 2.)12處, 3.)18界, 4.)12因緣, 5.)四聖諦(성제), 8정도 입니다.
불교 교리는 복잡해 보이지지만 위의 1) ~ 5) 의
기본교리만 숙지하면 쉽습니다. 결론적으로는
특히 5) 4성제 ( 성스러운 성불을 위해 거치는 네개 과정) 그중에도 8 正道가 핵심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위의 기본 교리를 차례로 설명하겠습니다.
1. 5蘊 (5온) - 속 마음이 쌓아가는 5가지 정신세계 (인식체계)
** 蘊 : 1) 속내 온 2) 쌓을 온 - 속 마음에 쌓아가는 것
5蘊이란 色,受,想,行,識 다섯가지를 말 하는데 色이란 물질 즉 우리몸을 말하는 것이고,
受,想,行,識 4가지는
정신적인 것을 말한다. 受라는 것은 받아들인다는 뜻이고
즉 영어로 말하면 sensing 한다는 뜻이고, 想이란
영어로 말하면 imagenation 즉 어떤 상상의 image를 머리속에 그림으로 형성하는 과정 이고,
行이란 業(죄)을 짓는 과정인데 業(죄)은
身,口,意로 짓는다. 身은 몸으로 짓는 것이고
口는 입으로 짓는 것이고 意는 마음으로 짓는 것을 말한다. 行은
身業과 意業으로 나뉘어 지는데 身과 口는 身業을 말하고
意는 意業을 뜻한다.意業은 마음 속으로 業(죄)을 짓는
것 이지만 身業은 실제로 행동을 하여 業을 짓는 것을 말한다.
다음의 識은 行의 image를 저장하는 것인데
이 다음에 記憶을 하는 것은 이 識을 말한다.
5온이란 한마디로
살아가면서 속 마음에 쌓아가는
우리의 인식체계를 말하는 것이다.
2. 12處 (12처) -5개의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내용을 판단,인식하는 과정
12處란 6"根"과 6"境"을 말하는대 6"根"이란 "眼,耳,鼻,舌,身,意" 6가지를 말 하는데
"眼耳鼻舌身"의 다섯가지란
감지하는 다섯가지의 sensing element 5官(감각기관)을 말하는 것이고,
"意"는 5관으로 받아들이면서 좋다든가 또는
나쁘다든가를 판단하는 것으로 불교에서는 이 "意"를 하나의 sensing element로
생각하여 6개의 감각기관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 "意"는 앞의 5官으로 받아들인 것을 판단하는 하나의 요소이다.
"6境"이란 6"根"의 대상을 말하는데, "眼"의 대상은 "眼境" 즉 눈으로 보는
대상경계를 말하는 것이고 이를 色
이라한다. "耳境"은 듣는 대상경계를 말하고 이는 聲이라 한다.
이와같이 "眼境","耳境","鼻境","舌境","身境","意
境 " 의6가지를 말한다. 6"根"에 대한 6"境"이 있게되는 것인데 이는 色, 聲 香 味 觸 法 이다.
3. 18"界"란 -감각 기관이 인식할 수 있는 대상과 범위를 18 경계(영역)로 분석
"眼根"과 "眼"의 경계인 "眼境"과의 사이에 "眼識"이 生기고
"耳"와 "耳境"과의 사이에 "耳識"이 생기고, "舌根"과 舌境"사이에
"舌識"이 생겨 이와같이 하여 6"識"이 생겨 6"根",6"境"과 6"識"이 합처서 18"界"가 형
성 되는 것이다.
이18계 (18영역)란 결국 우리의 인식체계를 좀 더 깊이 있게 분석한 것이라 하겠다.
4. 12"因緣" - 평범한 인생 살이의 고통 원인을 석가모니는 12가지로 분석
부처님이 깨치신 내용으로 12"因緣"이다. 1. 無明. 2. 行 . 3. 識. 4. 名色. 5. 六入.
6 觸. 7 受. 8 愛.
9. 取. 10 有. 11. 生. 12. 老死.의 12가지를 말한다.
"無明과 行" 두가지는 과거의 原因이고 "識, 名色, 6入, 觸, 受" 이 다섯가지는
"현실인식"을 말한다. "愛,取,有"
이 3가지는 현실적 원인을 말하는 것이고
"生, 老死" 이 두가지는 미래의 "果"를 말한다.
"無明"이란 불교학자 "콘즈"씨는 "맹목적 충동 "이라고 말하였는데,
智慧롭지 못하다는 뜻이 되겠다. 그 결과
로 "行 "즉 "業"(죄)을 짓게 되는 것이다. "業"(죄)은 "身,口,意"로 짓는다.
이 "無明"과 "行" 두가지가 앞으로 전개될 原因
이 되기 때문에 과거의 " 因"이 되는 것이다. "行"의 결과로
저장된 "識" 때문에 몸통 즉 "名色"이 生기게 되고, 6입은 6개의
감각기관,"觸,受"등 현실적 인식단계가 있게 된다. "愛,取,有"는 현재의 원인인데
"愛"란 탐착하는 것이고
"取"란 집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有"란 만들어간다 또는 되어간다라는뜻을
갖는것으로 싼스크리스트語로
bhaba 이다. 이 "愛取有"가 현실적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 현실적 원인 때문에
"生,老死"란 미래의 果가 生기게 되는 것이다. "老死"란 한마디로 말하면 "苦" 이다.
이 "苦"인 "老死"가 없을려면 "生"이 없어야 하고, "生"이
없 을려면 "有"가 없어야 하고,"有"가없을려면 "取"가없어야하고
" 取"가 없을려면 "愛"가 없어야 한다. 이
"愛"가 없으려면 현실적 인식단계인 "受,觸,六入,名色,識"이 없어야 하고,
이와 같은 현실적 인식단계는 과거의
원인인 "行"즉 "業" 때문인데, 이"業"은 지혜롭지 못한 "無明" 때문이다.
이 "무명"(지혜롭지 못함)을 타파하지 않고서는 "고"인
노사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12"緣記"가 바로 부처님이 깨치신 내용이다.
5. "四聖諦". (4성제) - 고통,집착 원인을 벗어나 해탈하고 성불하는 네단계 .(매우 중요)
"四聖諦"란 "苦,執,滅,道" 이 4가지이다. 고통은 집착에서 오는 것이고
이 고통을 滅할려면(해탈하려면) "道"를
닦아야 한다는 것이다. "道"란 "8正道"를 말하는데,
1 正見. 2 正思惟. 3 正語. 4 正業.
5 正命. 6 正精進. 7 正念.(正心)
8 正定 이다.
"正見"이란 올바르게 보라는 뜻을 말하는 것이고
"正思惟"란 모든 것을 올바르게 사고하는 것이고
"正語"란 올바른 언어를 구사하는 것이고
"正業"이란 올바른 행동을 하라는 뜻이고
"正命"이란 올바른 생활을 하라는 뜻이고
"正精進"은 올바른 발전, 精進을 하라는 뜻이다.
"正念"이란 올바른 생각으로 기억을 하라는 뜻이고
"正定"이란 올바른 "安定"에 들어가야 한다는 뜻이다.
1) "8 正道"란 요약하면 모든 것을 올바르고
智慧롭게 행동 하라는 뜻이다.
만일 東쪽으로 가야할 사람이
西쪽으로 간다면 이는 처음부터 아니 간 것만 못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것을 심사숙고하여 지혜롭게 살아야 해탈하고(고통을 벗고)
성불하여 안심입명의 경지에 이른다.
2) 8정도를 닦는 수도 방법 중 참선( 명상, 동안거, 하안거, 화두를 쓰고 수행)에 의한 선종과
불경의 중요 경전을 읽고 8정도를 깨달아 득도하는 교종이 있다.
** 결론: 다른 것은 복잡하니 1)8정도와 2)성불, 3)안심 입명 경지가 무엇인가만 알아도 된다
*** 기독교와 불교의 교리 차이점 (중요)
1)기독교는 우주만물 최고신 여호와 하나님을 믿고 그 가르침과 말씀에
따라 신실하게 살면 살아서는 남보다 덜 불행하게 많은 축복을 받고
사후에도 하나님 나라(천당)에서 영생의 복을 누린다는 종교관이다.
물론 신실하지 못하고 회개하지 못하면 형식적으로 하나님을 믿어도
불지옥에 떨어진다.
2) 불교는 부처님 가르침인 자비심과 8정도를 잘 지키는 정도에 따라
스스로 해탈(세상 고통을 이김), 성불(부처님수준)하여 신자가 신의
경지까지 이른다는 점이다.
성불만 하면 신(창조주)과 같은 수준이 되므로 윤회의 고통 없이
사후에도 극락세계에서 편히 영생한다.
그러나 성불 못하면 그 정도에 따라
윤회의 고통을 겪는 각종 동물, 인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주의 할 점은 논리적으로 불교에서 믿음의 대상인 부처님은 신 아닌 인간이기 때문에
불교는 신이 없는 무신교 라고 하기도 하며 신을 닮은 수준까지만 성불해 가면
신의 세계인 극락에 이른다는 신앙이어서 기독교보다 논리성이 떨어진다고 한다.
'신앙 ,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유명한 일화 (0) | 2021.03.31 |
---|---|
기독교에서 요단강의 두가지 의미 (0) | 2021.03.31 |
기독교의 핵심교리 요약 (0) | 2020.08.25 |
신앙심이 없는 인생은 결국 허당(헛된) 인생이다.- 헤밍웨이 사례 (0) | 2020.08.21 |
요단강 찬송가와 요단강의 성경적 의미 두가지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