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수필, 문학 평론, 국어국문학 일반

MBTI (성격 유형검사란 무엇인가? )

신풍 2023. 4. 10. 18:09

MBTI (성격유형검사)란 무엇인가?

 ping4213  1분 전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그녀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1944년에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로, 사람의 성격을 16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 지표는 본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 이후 징병제로 인해 발생한 인력 부족 및 총력전으로 인한 군수 공업의

수요 증가로 남성 노동자가 지배적이던 산업계에 여성이 진출하게 되자, 이들이 자신의 성격 유형을 구별하여

각자 적합한 직무를 찾도록 할 목적으로 1944년에 개발되었다.[출처]

문헌에서 인용 시에는 Myers & McCaulley(1985)의 매뉴얼을 이용한다.

2. 성격 유형 선호 지표[편집]


구분
T
F
J
P
J
P
I
S
N
E
S
N
I (내향) | E (외향) S (감각) | N (직관)  T (사고) | F (감정)  J (판단) | P (인식)

MBTI에서는 두 개의 태도 지표(외향-내향, 판단-인식)와 두 개의 기능 지표(감각-직관, 사고-감정)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를 밝혀서 4개의 선호 문자로 구성된 개인의 성격 유형을 알려준다. 따라서 MBTI 검사

결과로 생길 수 있는 성격 유형은 모두 16가지가 된다

MBTI에서 파생된 MBTI 관계론(일명 사회인격학/소시오닉스)은 이론적으로는 어느 정도는 맞는 편이나,

현실에서는 인간관계를 맺고 유지하면서 생기는 변수가 크므로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각 유형 간 아비투스

차이 등은 일절 고려되지 않았기에 이론적으로도 완벽하지 않다.

2.1. 척도[편집]


MBTI에서는 인간의 내적 과정을 다음과 같이 4가지 선호 경향으로 분류한다.

  • 주의초점 - 에너지의 방향
  • 외향 (Extroversion) - 자기 외부에 주의 집중. 다른 누군가에게 발상, 지식이나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 에너지를 얻는다. 사교적, 활동적이며 외부 활동에 적극성을 발휘한다. 폭넓은 대인관계를 가지며
  • 글보다는 말로 표현하기를 좋아한다. 경험을 통해 이해한다.
  • 내향 (Introversion) - 자기 내부에 주의 집중. 발상, 지식이나 감정에 대한 자각의 깊이를 늘려감으로써
  • 에너지를 얻는다. 조용하고 신중하며 내면 활동에 집중력을 발휘한다. 깊이있는 대인관계를 가지며 말보다는
  • 글로 표현하기를 좋아한다. 이해한 다음 행동한다.
  • 인식기능 -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
  • 감각 (Sensing) - 오감[2] 및 경험[3]에 의존. 현실주의적인 타입.[4] 실제의 경험을 중시하고 지금에
  • 초점을 맞추어 일처리한다. 숲보다 나무를 보려는 경향이 강하다.
  • 직관 (iNtuition)[5] - 직관 및 영감에 의존. 이상주의적인 타입. 아이디어를 중시하며 미래지향적이고
  • 개연성과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신속, 비약적으로 일처리한다. 비유적, 암시적으로 묘사한다.
  • 나무보다 숲을 보려는 경향이 강하며 자신만의 세계가 뚜렷한 편이다.[6][7]
  • 판단기능 - 판단의 근거[8]
  • 사고 (Thinking) - 업무 중심 타입. 진실과 사실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맞다, 틀리다'의 판단 선호.
  • 이성적이고 논리적,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사실을 판단한다. 원리와 원칙을 중시한다. 논평하기를 좋아한다.
  • 감정 (Feeling) - 인간관계 중심 타입. 사람과의 관계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좋다, 나쁘다'의 판단 선호.
  • 상황적, 포괄적이며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이성보단 감정에 치우치며 의미, 영향, 도덕성을 중시한다.
  • 우호적인 협조, 공감하기를 좋아한다.
  • 생활양식 - 선호하는 삶의 패턴
  • 판단 (Judging) - 분명한 목적과 방향 선호. 계획적이고 체계적이며 기한을 엄수한다. 깔끔하게 정리정돈을
  • 잘하며 뚜렷한 자기의사와 기준으로 신속하게 결론을 내린다.
  • 인식 (Perceiving) - 유동적인 목적과 방향 선호. 자율적이고 체계는 없지만 재량에 따라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 상황에 따라 적응하며 결정을 보류한다.

주의할 점은, 사람이 외향형이라고 해서 내향적인 성격 요소가 그 사람에게 전혀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누구나 위의 여덟 가지 특성을 조금씩 다 가지고 있으며, MBTI에서 보고자 하는 것은 개인이 각 요소들 가운데

어느 요소의 특징이 더 강하느냐를 알아보는것이다. 따라서 MBTI를 통해 성격 유형이 16가지만 있다고 할 수 없으며

해당 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이 대체로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분류 할 수 있을 뿐이다.

2.2. 심리 역동의 위계[편집]  이하 설명은 생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