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내 일본의 절반이 사라진다..열도 충격에 빠뜨린 '마스다보고서'[서영아의 100세 카페]
동아일보 기자 입력 2021. 03. 14. 09:00 수정 2021. 03. 14. 10:16 댓글 896개
유령도시로 바뀌는 전국의 아파트 단지들
인구 감소 초고령화..일본의 가까운 미래상 보여준 '요코하마의 티벳'
'평생자립' 자세로 인생 최후의 터전 가꿔내는 와카바다이 노인들
2014년 5월 보고서 하나가 일본 열도를 충격에 빠뜨렸다. 마스다 히로야(增田寬也) 전 총무상이 이끄는
일본창성회의가 낸 일명 ‘마스다 보고서’다. 현재의 인구 감소 추세대로라면 2040년까지 일본의 절반, 896개
지방자치단체가 소멸한다는 경고를 담았다(이 내용을 정리한 책 ‘지방 소멸’은 한국에도 출간돼 있다).
인구 문제로 인한 쇠락과 소멸의 공포가 본격적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보고서의 분석 기법에 따라 소위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개발됐다. 한 지역의 가임여성(20¤39세)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인구의 유출·유입 등 다른 변수가
작동하지 않는 한 30년 뒤에는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도쿄 23구(도심)에도 빈집 50여 만호
빈집이 늘면서 지방부터 ‘부(負)동산’화가 진행되는 일본이지만 인구가 쏠리는 대도시 집값은 상대적으로
견고해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총무성 발표는 놀라웠다. 전국의 빈집 846만 가구 중 81만 여 가구가 도쿄에 있었고,
이중 70%는 도심 23구내에 있었다(도쿄는 한국으로 치면 서울특별시와 비슷한 도심 23구와 경기도와 비슷한
‘다마 지구’로 이뤄져 있다).
특히 23구중에서도 부촌(富村)으로 알려진 인구 92만 명인 세타가야(世田谷)구에서만
5만호가 빈집으로 밝혀져 충격을 더했다.
'지방 행정, 지방 자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2021년 업무실적, 2022년 주요 업무 계획 방향 (0) | 2022.01.20 |
---|---|
행정상식,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 (0) | 2021.11.18 |
2050 년 소멸위기 시군, 자치구 (0) | 2021.02.12 |
한국 자치단체 숫자, 자치시와 행정시 차이점 (0) | 2021.02.07 |
주민 주권 사용이 위헌인가?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