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개발 촉진법 <법률 제3923호, 1986.12.31.>
제1조(목적) 이 법은 도서(島嶼)의 생산·소득 및 생활기반시설의 정비·확충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도서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와 복지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09.4.1.]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도서"란 만조(滿潮) 시에 바다로 둘러싸인 지역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은 제외한다. 1. 제주특별자치도 본도(本島) 2. 방파제 또는 교량 등으로 육지와 연결된 때부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이 지난 도서 ② 제1항제2호에 해당하는 도서 중 제4조에 따라 지정된 개발대상도서로서 제6조에 따라 수립된 개발사업이 완료되지 아니한 도서는 예외로 한다. [전문개정 2014.12.30.] 제3조(다른 계획과의 관계) ① 이 법에 따른 개발계획은 다른 법령에 따른 개발계획에 우선한다. 다만, 군사(軍事), 「국토기본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이 법에 따른 개발계획은 다른 법령에 따른 개발계획과 연계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4.1.] 제4조(개발대상도서의 지정) ① 이 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도서를 개발대상도서(이하 "지정도서"라 한다)로 지정한다. ② 지정도서는 행정자치부장관이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라 한다)의 신청에 의하여 제14조에 따른 도서개발심의위원회(이하 "도서개발심의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지정한다. 이를 변경할 때에도 같다. <개정 2013.3.23., 2014.11.19.> [전문개정 2009.4.1.] 제5조(지정도서의 고시) 행정자치부장관은 제4조에 따라 도서를 지정하였을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고시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1. 개발목표 2. 개발도서 및 개발사업의 범위 3. 개발사업의 개요 4. 개발사업의 시행기간 [전문개정 2009.4.1.] 제6조(사업계획의 수립) ① 지정도서를 관할하는 시·도지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업계획을 작성하여 행정자치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도서개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제1항에 따른 사업계획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지침과 기준을 정할 수 있다. <개정 2013.3.23., 2014.11.19.> ③ 제1항에 따른 사업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주민소득 증대와 생활수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주거환경 및 시설의 개선에 관한 사항 2. 산업진흥과 자원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기반시설 설치에 관한 사항 3. 도서지역의 교통·통신의 편익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운송 및 교통수단과 통신시설의 개선·확충에 관한 사항 4. 풍수해나 재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파제·방조제 시설과 산림녹화 등 국토 보전에 관한 사항 5. 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교육·후생·의료·문화 및 전기 시설의 설치·개선에 관한 사항 6. 도서지역 환경보전에 관한 사항 7. 생활필수품의 원활한 유통·공급을 위한 지원·보조 등에 관한 사항 8.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시설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도서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전문개정 2009.4.1.] 제7조(사업계획의 확정) ① 제6조에 따른 사업계획은 행정자치부장관이 도서개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무총리에게 보고하고 확정한다. 확정된 사업계획을 변경할 때에도 같다. <개정 2013.3.23., 2014.11.19.> ② 제1항에 따라 확정된 사업계획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미한 사항은 해당 시·도지사가 변경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9.4.1.] 제8조(연도별 사업계획의 확정) ① 관계 시·도지사는 제7조제1항에 따라 확정된 사업계획에 따라 매년 다음 해 사업계획(이하 "연도별 사업계획"이라 한다)을 작성하여 행정자치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② 행정자치부장관은 연도별 사업계획을 도서개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전문개정 2009.4.1.] 제9조(사업의 시행자) ① 지정도서의 사업시행자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도지사가 지정하는 자로 한다. ② 제1항의 사업시행자는 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 또는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게 개발사업을 위탁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9.4.1.] 제10조(사업비의 조성) 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업계획을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금을 사업시행자에게 보조·융자 또는 알선하고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국가의 보조비율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9.4.1.] 제11조(예산에의 계상)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사업계획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비를 예산에 계상(計上)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4.1.] 제12조(다른 관계 규정 등에 관한 조치)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도서 지역의 토지 또는 수면(水面)을 사업계획에서 정하는 용도로 제공하기 위하여 사업시행자가 관계 법률에 따라 허가 또는 처분 등을 신청한 경우에는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그 지정도서 개발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9.4.1.] 제13조(세제 지원) 정부는 사업계획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세제(稅制) 지원을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9.4.1.] 제14조(도서개발심의위원회의 설치) ①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행정자치부에 도서개발심의위원회를 둔다. <개정 2013.3.23., 2014.11.19., 2014.12.30.> 1. 제4조에 따른 도서의 지정 2. 제6조제2항에 따른 사업계획 작성을 위한 지침과 기준 3. 제6조에 따른 사업계획 및 제8조에 따른 연도별 사업계획 4. 그 밖에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도서개발심의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개정 2014.12.30.> ③ 위원장은 행정자치부장관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개정 2013.3.23., 2014.11.19.> ④ 위원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차관·청장 및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으로 한다. <개정 2016.1.27.> ⑤ 위원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의견진술과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도서개발심의위원회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6.1.27.> [전문개정 2009.4.1.] 제15조 삭제 <1999.8.31.>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삭제 <1995.12.30.>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법은 공포후 3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법률 제6654호, 2002.2.4.> (국토기본법)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3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내지 제5조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 내지 ⑥생략 ⑦도서개발촉진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단서중 "국토건설종합계획법"을 "국토기본법"으로 한다. ⑧ 내지 ⑯생략 제7조 생략 부 칙 <법률 제7796호, 2005.12.29.> (국가공무원법)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6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내지 제5조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 내지 ㉕생략 ㉖도서개발촉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4조제4항중 "2급 이상 국가공무원"을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한다. ㉗ 내지 <68>생략 부 칙 <법률 제8852호, 2008.2.29.> (정부조직법)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ㆍㆍㆍ<생략>ㆍㆍㆍ,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의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200>까지 생략 <201> 도서개발촉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전단, 제5조 각 호 외의 부분, 제6조제1항ㆍ제2항, 제7조, 제8조제1항ㆍ제2항 및 제14조제3항 중 "행정자치부장관"을 각각 "행정안전부장관"으로 한다. 제1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행정자치부"를 각각 "행정안전부"로 한다. <202>부터 <760>까지 생략 제7조 생략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 칙 <법률 제11690호, 2013.3.23.> (정부조직법) 제1조(시행일) ①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생략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165>까지 생략 <166> 도서개발 촉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전단, 제5조 각 호 외의 부분, 제6조제1항ㆍ제2항, 제7조제1항 전단, 제8조제1항ㆍ제2항 및 제14조제3항 중 "행정안전부장관"을 각각 "안전행정부장관"으로 한다. 제1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행정안전부"를 각각 "안전행정부"로 한다. <167>부터 <710>까지 생략 제7조 생략 부 칙 <법률 제12844호, 2014.11.19.> (정부조직법)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73>까지 생략 <74> 도서개발 촉진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전단, 제5조 각 호 외의 부분, 제6조제1항ㆍ제2항, 제7조제1항 전단, 제8조제1항ㆍ제2항 및 제14조제3항 중 "안전행정부장관"을 각각 "행정자치부장관"으로 한다. 제1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안전행정부"를 "행정자치부"로 한다. <75>부터 <258>까지 생략 제7조 생략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참고사항) 도서개발촉진법이 제정된 유래
위 도서개발 촉진법은 박정웅이 전남도청 기획계장이던 1975년
"다도해 종합개발 계획"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
그 명칭부터 박정웅이 도서개발촉진법이라 명명해서
법 초안과 시행령을 모두 만들어 여수 출신 김상영 국회의원에게 제출했고
박정웅은 그 공적으로 도청 법무관을 거쳐서 전남 다도해 도서개발을 촉진하기 위해서 신설된
초대 전남 도서개발 국장으로 파격 승진 임명되었다.
그 후 전남출신 국화의원들이 부진하던 모법의 입법화에 박차를 가해서
수년 후 국회를 통과 한 후 내무부에서 부분적으로 개정안을 몇 차례 손질하여
위 법안이 지금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
'지방 행정, 지방 자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필)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행정의 중요성 (0) | 2020.09.18 |
---|---|
자치경찰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경찰법 개정안 제안 (0) | 2020.08.28 |
지방자치행정의 발전방향 (0) | 2020.08.23 |
각종 공무원 계급 / 나무위키 (0) | 2020.08.21 |
중앙과 지방의 기능 재배분 (0) | 202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