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수필, 문학 평론, 국어국문학 일반 97

렌의 애가 저자 여류시인 모윤숙

♡♡,,렌의 애가,, 저자 여류시인 모윤숙 ♡♡ - 1948년 한국 정부 수립에도 기여했다. - 사랑은 이마를 스쳐가는 향내음 품고 두 가슴을 적시어 합치게 하리라 -모윤숙 ,,렌의 애가,, 일절 소쩍새는 피울음을 운다고 한다. 짝을 부르는 새 소리를 사람들은 운다고도 하고 지저귄다고도 하고 노래한다고도 한다. 그 새가 되어 이룰 수 없는 사랑을 밤낮으로 슬프게 노래한 영운(嶺雲) 모윤숙 시인이 있다. 영운은 1910년 함남 원산에서 태어나 이화여전 문과를 졸업한 신여성으로 북간도의 명신여고에서 교편을 잡다가 31년 서울 배화여고로 옮기면서 월간 `삼천리`기자, 중앙방송국 기자로 일한다. 이해 12월 `동광`에 시 `피로 새긴 당신의 얼굴`을 발표하면서 그는 시단의 꽃으로 얼굴을 내밀었고, 33년 첫 시..

위장 숙맥시대, 지록위마 시대

🍎위장 菽麥(숙맥)의 시대 , 지록위마 시대 (알게 모르게 여론을 조작하여 진짜보다 거짓이 판치는 시대)에 대한 경각심 💚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을 숙맥이라 한다. 구별할 줄 알면서도 고의로 구별 못한 척하면 위장 숙맥이라 할 수 있죠 숙(菽)은 콩이고, 맥(麥)은 보리다. 크기로 보나 모양으로 보나 확연히 다른 곡식인데, 눈으로 직접 보고도 구별하지 못하니 답답할 노릇이다. 이렇게 콩과 보리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이런 쑥맥!'이라고 보통 욕을 한다. 문제는 숙맥들이 구별하지 못하는 것이 어찌 콩과 보리뿐이겠는가? 특히 숙맥을 잘 알고도 고의로 모른척 하는 위장숙맥 정치인들, 사슴을 말이라고 우기는 지록위마 정치인 들이 가장 큰 문제이다 ㆍ 요즘 정치판에서는 정상과 비정상을 알면서도 구..

한글날에 부치는 우리민족의 우수성

### 오늘 한글날에 부치는 우리민족의 우수성 소감 고대사를 보면 한국인 동이족은 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6개 문자를 발명했다고 세계 저명 언어학자들은 말한다 즉 1)고대 고조선 가림토 문자 2)고대 고조선 녹도문자 3)은허 갑골문자 4)한자 ㅡ중국인들이 쓰는 한문자도 고대갑골문자가 발전 . 5)이두문자 ㆍ신라 설총 6)훈민정음 즉 한글 (인송 박정웅 페이스 북 글)

세종대왕의 은혜

아~! IT 세종대왕님!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서 알파벳으로 입력한 다음에 단어 마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

박정웅 문학 평론가 이은별 시인 시평

( 박정웅 문학평론가 이은별 시인, 문학 박사 제1차 시평) 이은별 시인의 제3시집 ‘내일은 푸른 하늘’이 요즘 장안에서 화제작으로 등장하고 있다. 매대에서도 고은 시인 시집 등 내로라하는 국내 유명시인들과 함께 독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이 시집의 밑뿌리는 시인의 진솔하고 따뜻한 사랑과 자연의 섭리이다. 시어 곳곳에 사랑과 자연의 섭리가 아름답게 녹아 있다. 과부하에 걸린 한국인의 고달픈 삶에 포근한 위로를 준다. 분주한 일상에서도 생활의 지혜를 꿰뚫어보게 한다. 그동안 제 1시집, 제2 시집보다 시상의 전개가 한층 완숙해지고 한행 한행에서 감동의 물결이 일고 깨달음을 더해주는 수작이다. 감칠맛 나는 시어 선택도 국내 여류시인 중 단연 돋보인다. 모윤숙 시인의 유려한 문체와도 비견할 만하다고 본다..

광복절 관련 눈물젖은 두만강 노래사연

* '눈물젖은 두만강' 노래 사연 - - 일제 치하에서 독립군 부부의 애절한 사연 두만강 푸른 물에 노 젓는 뱃사공 흘러간 그 옛날에 내 님을 싣고 떠나간 그 배는 어데로 갔소 그리운 내 님이여 그리운 내 님이여 언제나 오려나 강물도 달밤이면 목메어 우는데 님 잃은 이 사람도 한숨을 지니 떠나간 그 내 님이 보고 싶구려 그리운 내 님이여 그리운 내 님이여 언제나 오려나. 이 노래는 거제 출신의 이시우가 작곡하고, 김정구가 부른 노래로 오랫동안 국민가요로 불리워졌던 노래이다. 그런데 이 노래에는 이런 사연이 있었다. 이시우가 1935년 순회공연을 위해 중국 두만강 도문의 한 여관집에 묵게 되었다. 그런데 밤새도록 옆방에서 한 젊은 여인의 비통하고도 애끓는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이튿날 이시우가 주인에게 그 ..

박정웅 사색의 창에서

1) 한강을 가슴에 품고 무수한 권력자가 잠깐 등장하다 가고 사라져도, 세월의 강을 건너 한강은 지금도 유유히 흐릅니다. 2) 가진 것이 많으면 사과나무 처럼 넉넉히 주고 가진 것이 적으면 늘 푸른 소나무 처럼 꿋꿋한 자유인이 되라. 3) 역사는 권력자가 쓴 기록, 헛점도 많지만 긴 인류 역사속에서 언젠가는 바른 물줄기로 흐른다는 믿음으로 살아야 정신 건강에 좋다.

영화 벤허와 이 영화를 반전시킨 로마 양자 제도 이야기 요약

영화 벤허와 이 영화를 반전 시킨 로마 양자 제도 이야기 요약 1962년 당시 천문학적 제작비인 1,500만 불을 들여 만들고 무려 8번이나 재개봉을 했던 영화가 있습니다. 125,477명이 출연, 제작기간 10년이 걸려서 만든 영화 '벤허'입니다. 아카데미 11개 부문을 수상한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도 그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벤허는 허(Hur)씨 가문의 외아들이란 뜻입니다. 허씨 가문은 예수님과 같은 시대 예루살렘에서 많은 노예를 거느리고 살던 부호가문이었습니다. 어느 날 로마의 신임 총독이 부임하게 되고 총독 부임 축하 행진 중에 벤허의 여동생의 실수로 기왓장이 총독의 머리에 떨어지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총독을 수행하던 멧살라라는 장교가 있었는데 그는 벤허의 옛친구였습니다. 바로 그..

인생의 열가지 기적

*인생십적(人生十蹟) ㅡ 소위 인생의 열가지 기적이란 ? 인생엔 열 가지 기적(奇蹟)이 있고, 세상은 이를 일러 인생(人生) 십적(十蹟)이라 부릅니다. 님은 지금까지 몇 개의 기적(奇蹟)을 경험했는지 체크해 보세요. ○一蹟은 건강한 몸으로 태어나는 것이요, ○二蹟은 좋은 부모형제를 만나 는 것입니다. ○三蹟은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친구를 얻는 것이요, ○四蹟은 마음을 모두 주고 싶은 진실한 사랑을 만나는 것입니다. ○五蹟은 효성스런 자식을 얻는 것이요, ○六蹟은 존경스런 스승을 만나는 것입니다. ○七蹟은 비명횡사 하지 않고 천수를 누리는 것이요, ○八蹟은 평생 재물에 궁하지 않을 만큼 가지는 것입니다. ○九蹟은 인연과 사별할 때 임종을 지키는 것이요, ○마지막 十蹟은, 죽음에 이르러 아무런 미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