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수필, 문학 평론, 국어국문학 일반 97

방랑 시인 김삿갓 외 자작시 편 (1)

방랑 시인 김삿갓 / 인송 박정웅 먼 하늘 길 터벅터벅 걸어 내려와 조선 장동(壯洞)김씨 집안에 유배(流配)온 시선(詩仙). 조부의 멍에에 코가 꿰어서 죽장망혜(竹杖芒鞋) 풍월주인으로 달빛 그림자 베개하고 가슴 시린 인생 사연 발길 곳곳 풀어 놓은 걸인 옷 걸친 귀공자. 망향의 설움 객창에 묶어두고 삿갓 속에 세월 무게, 인생자락 둘둘 말아 넣고 허공 두루마리에 세상인심 구구절절 즉흥시로 쏟아 적고 술 한 잔에 달빛 희롱하는 춤 덩~실, 더덩실 추며 나라를 달궜던 그리운 임. 임의 자취 어린 영월 노루목에 붉은 단풍 채색할 땐 후학들 술렁임에 미소 짓고 바람 옷 입고 내려오신 임의 혼령이시여! 세월도 흘러 세상도 변했으니 떠돌던 임의 고통 하늘 강에 흘리시고 이젠 행복만 즐기는 고운 혼이 되소서. (20..

가는 해 오는 해

가는 해, 오는 해 다시 또 한해의 끝자락에서 뒤돌아 보는 지난 시간들입니다. 지구촌을 강타하여 모두에게 유례 없는 깊은 상처를 안긴 코로나 19가 아직도 긴 터널을 지나고 있습니다. 터널 끝이 어디인지 아직도 보이지 않습니다. 그런 가운데서도 서로를 격려하고 건강과 안위를 살피던 소중했던 시간들, 온몸에 전율을 느끼며 잊고 싶은 시간들 이 모두를 안고 올 한해도 이렇게 저물어 갑니다. 얼마 남지 않은 올 한해 코로나에 꿋꿋하게 맞서서 마무리 잘하시고 밝아오는 신축년 소띠해에는 소처럼 뚜벅뚜벅 그래도 힘차게 나아가면서 코로나의 압박감을 훌훌 털어버리고 보이는 행복과 느끼는 행복을 모두 누리시고 눈부신 햇살 속에서 건강, 대박, 기쁨과 행운이 차고 넘치는 복된 한해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 인송 박정웅 ..

자기관리의 지혜

자기 관리의 지혜 세상과 타협하는 일보다 더 경계해야 할 일은 자기 자신의 잘못된 습관에 너무 잘 자기 자신을 용서하고 타협하는 일이다. 우리는 스스로 자신의 매서운 스승 노릇을 해야한다. 우리가 일단 어딘가에 집착해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안주하면 그 웅덩이에 갇히고 만다. 그러면 마치 고여 있는 물처럼 썩기 마련이다. 버리고 떠난다는 것은 곧 자기답게 사는 것이다. 낡은 탈로부터, 낡은 울타리로부터, 낡은 생각으로부터 벗어나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 아무리 가난해도 마음이 있는 한 다 나눌 것은 있다. 근원적인 마음을 나눌 때 물질적인 것은 자연히 그림자처럼 따라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 자신이 더 풍요로워 질 수 있다. 세속적인 계산법으로는 나눠 가질수록 내 잔고가 줄어들 것 같지만 정신적인 면,ㆍ..

행복의 법칙 들

▒ 행복한 삶의 법칙 들 ▒ 제 1법칙. 믿음의 법칙 확신을 가지고 확실히 믿으면 이루어진다. 의심과 반신반의로써 자신이 없는 믿음은 이루어질 수 없다. 구하고 기도하는 것은 받은 줄로 알라. 그리하면 반드시 그리 되리라. 잠재의식을 통해 시공을 초월하는 4차원의 세계에서 미래를 현재로 앞당겨라. 결과를 영상으로 미리 눈으로 보고 만져보는 느낌을 가져라. 제 2 법칙 타이어의 법칙 사막의 모래에서 차가 빠져 나오는 방법은 타이어의 바람을 빼는 일이다. 공기를 빼면 타이어가 평평해져서 바퀴 표면이 넓어지기 때문에 모래 구덩이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 부부가 갈등의 모래사막에 빠져 헤멜 때 즉시 자존심과 자신의 고집이라는 바람을 빼는 일이다. 국회에서 토론도 마찬가지다 서로 자기 고집의 바람을 조금씩 빼면 ..

나팔꽃이 피지 않는 이유

고뇌를 통하여 환희를 얻는다 어느 식물학자가 나팔꽃 봉오리에 24시간 빛을 비추어 보았다. 그런데 꽃이 피지 않았다. 무엇이 부족했기 때문일까? 나팔꽃이 피려면 밤의 냉기와 어둠이 필요했다 ᆞ 시베리아 밀은. 혹독한 겨울을 견디어야 이듬해 봄 꽃을 피고 여름에 열매를 맺는다 혹독한 겨울이 없는 열대에서 시베리아 밀을 심으면 꽃이 피지 않아 열매도 못맺는다. 매화는 춘설을 맞아야 꽃이 피고 개나리, 진달래도 추운 겨울을 견디어야 봄꽃이 핀다ᆞ 사람도 시련, 고충을 이겨내고 갈고 닦아야 제 구실을 할 수 있다. 위대한 영웅 대부분은 고통속에서 성장한다. 큰 인물을 만들기 위하여 시련을 주는 것이다. 고통과 고뇌를 모르고 성공한 사람은 한 번 넘어지면 일어나기 어렵지만 고통을 맛보며 자란 사람은 다시 일어설 ..

(제 2강) 국어 단어 개념 확장 보기

제2강 국어 단어개념의 확장 사례들 연구 1. 勿(물)을 이용한 단어 개념 확장 0. 勿(물)은 점 집 혹은 신성한 제사 모시는 장소에는 구부러진 깃발을 세개 메달아서 용무가 없는 사람은 그 장소에 출입을 금지 시컨다는 의미이다 의미는 출입 금지 물, 하지 말라는 물로 부정적 의미이다. 0. 여기서 의미확장을 하면 왼변에 소우자를 합하여 物 물이 된다 여기서 물의 의미는 실로 다양한 엉뚱한 개념으로 확장된다. 1) 만물물 2) 물건 물 3) 사람물 4) 사건 또는 일 물이 대표적이다. 1) 萬物像 2) 物件, 物權 3) 人物, 物意를 일으키다. 4) 事物 0. 금지할 勿 밑에 사람 마음 心을 더하면 忽홀이 된다 홀은 1) 금지돤 장소를 사람이 위반하고 갑자기 그 장소에 나타나는 홀 2) 금지 지키기를 소..

(제1강) 국문학에서 단어 (낱말)의 개념 확장(넓힘)이 중요한 이유

(제 1강) 국문학에서 단어 (낱말)의 개념 확장(넓힘)이 중요한 이유 1. 어휘(낱말) 개념의 확장(넓힘)이 일상생활 및 글쓰기에서 중요한 이유 사회가 복잡해 질수록 서로 다른 게층간. 여러 학문 영역간, 의사 소통과 새로운 개념의 탄생과 정리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체계적인 학문일 수록 개념의 확장이 계속 요구된다. 그래야 학문이건 기술 분야건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2. 우리 국어 교육의 맹점 (잘못된 점, 사각지대) 한자 교육이건 순수 국어 교육이건 교사들이 어휘의 다양한 의미와 그 쓰임새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어휘의 개념을 너무 협소하게 가르친 결과 언어의 다양한 개념, 다양한 쓰임새의 직접 활용에 실력이 매우 부족하다. 3. 뒤늦게 깨달은 언어 개념의 확장 방법 우리 말은 약 60% 이상이..

추석과 귀소본능

추석은 우리민족 고유의 최대 명절입니다. 추석명절의 특징은 햇곡식으로 떡을 해 놓고 햇과일을 나누어 먹으며 우리 민족이 넉넉한 마음으로 축제를 즐기는 날입니다. 예부터 이날 온가족들이 조상 성묘와 벌초를 했습니다. 삼국사기를 보면 신라 유리왕 때부터 조정에서 편을 짜서 민속놀이를 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추석날 길쌈대회도 했습니다. 활쏘기 대회도 했습니다. 그네를 타는 시합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상도 주었습니다. 중국에서도 이 추석을 최대명절로 보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추석을 '중추절이라고도 합니다. 추석 명절이 되면 고향을 찾아 민족 대이동이 이루어집니다. 이 '고향'이란 말은 듣기만 해도 정겹고, 생각만 해도 가슴이 포근해진 말입니다. 우리 한국 사람이 고향을 그리워하고 고향을 찾는 열정은 ..